분류 전체보기 97

곰팡이 피부염 링웜 (ringworm)에 대해서 - 주요 증상과 원인, 예방법 및 치료

한국에서 백선이라고 하고 영어로는 링웜(ringworm)이라고 불리지만 이름처럼 벌레(worm)와는 관련이 없는 질환입니다. 링웜은 곰팡이균에 의해서 생기는 피부염입니다. 곰팡이는 사실 인체에 무해한 것이 많지만 링웜을 일으키는 곰팡이는 사람이나 반려동물에게 피부염을 일으킵니다. 주요 증상 일반적으로 빨갛고 가려운 피부염증을 일으킵니다. ringworm (링웜)이라고 흔히 불리는 이유는 보통 모양이 마치 링처럼 빨간 벌레가 부풀듯한 모양이기 때문입니다. 링웜은 몸 어디든 생길 수 있는 곳이 다양합니다. 머리, 발, 등, 사타구니 등 생길 수 있는 곳은 다양하지만 증상은 위와 비슷합니다. 주 감염경로 주로 링웜에 걸린 다른 사람이나 반려동물(고양이나 강아지)에게 옮는 경우가 흔합니다. 직접적으로 옮지 않더..

한국 이민자로서 MCAT 시험을 잘 보려면 - 캐나다 의사 경험담과 의견

MCAT 시험을 치른지는 10년이 넘었지만 아직도 대학교를 다니면서 공부하느라 애먹었던 시간은 기억에 남아있습니다. 흔히 적을 알고 나를 알면 백전백승이라는 말이 있듯이 큰 시험을 준비하려면 그 시험이 어떤 형식인지 정확히 아는 것이 중요합니다. 저는 대학교 2학년을 마치고 MCAT을 치렀는데 막상 시험에 대해서 알아보니 예상과 달랐던 점이 많았습니다. 막연하게 생각했던 MCAT 의대 입학시험이니 생물학, 해부학 등 의학 지식을 필요로 함 외울 것이 많고 따로 학교 공부 외에 준비시간 필요 하지만 막상 준비하고 치러본 실제 MCAT은 의학 지식은 전혀 알 필요가 없음 학교에서 배운 지식을 응용한 시험 시험을 치르는 내내 시간관리가 중요 영어를 잘해야 함 제가 보기에는 마지막 "영어를 잘해야 한다"가 특히..

한국 유학생의 캐나다 의대 입학조건, 주의사항

가끔씩 한국 유학생이라 캐나다 영주권/시민권 없어 캐나다 의대에 입학이 가능한지에 대한 질문을 받습니다. 이미 캐나다 의대에 대해서 많이 알아보신 분들은 아시겠지만 캐나다 의대들은 자격조건이 많이 차이 납니다. 따라서 짧은 답변은 "한국 유학생도 입학할 수 있는 캐나다 의대들도 있지만 받아주는 학교와 자리가 상당히 제한적이다" 것이 결론입니다. 아래 글에 자세히 설명을 했고 마지막에 요약을 했습니다. 현직 캐나다 의사로서 알려드리는 내용이지만 저 또한 공식 홈페이지에서 찾은 자료이고 2020년 기준이라는 점 염두에 두시기 바랍니다. 이 글은 아래 유튜브에 올린 내용과 거의 동일합니다. 참고로 여기서 알려드리는 의대는 영어권 (= 영어로 수업을 하는) 의대만 포함했습니다. 퀘벡주에도 불어로만 수업을 하는 ..

캐나다 의대 1,2학년 예과 과정에서 배우는것

블로그 방명록에 학생 한분께서 의대에서 무엇을 배우는지 내용이 궁금하다고 올리셔서 그에 관해 글을 작성해봤습니다. 참고로 제가 다녔던 의대는 알버타 의대 (University of Alberta)이고 의대를 다녔던 학년은 2000년도이기에 지금과는 학교에 따라 다를 수도 있다는 점은 감안해 주시기 바랍니다. 그래도 사람 몸이 바뀌는 것은 아니기에 스케줄링은 달라도 결국 기본으로 배워야 하는 교과 과정은 비슷하리라 생각 듭니다. 1, 2학년 예과 과정은 거의 대부분 이론을 쌓는 기간이고 실습을 조금 하더라도 교과 과정에 관련된 것을 보충하기 위해 하는 것이라고 보면 되겠습니다. 세부사항 외에 캐나다 예과에 관해서 아래글을 참조해주세요. 캐나다 의대 과정 [예과편] - 현직 캐나다 의사 경험담 캐나다 의대생..

철분제 복용법 - 최적의 복용시간, 비타민C는 도움이 될까? 공복아니면 식후?

클리닉 방문하시는 분들은 여러 가지 이유로 철분제를 복용하시는 분이 많이 있습니다. 빈혈이나 임신 등으로 철분제를 추가로 먹어야 할 경우 부작용을 최대한 줄이고 흡수를 최대한으로 하기 위한 여러 가지 방법들을 알아보겠습니다. 철분제 종류와 부작용에 관한 글은 아래 링크에서 참조해주세요. 철분제 종류와 흔한 부작용, 부작용 줄이는 방법 빈혈이나 식습관, 또는 임신 등등 여러 이유로 철분제를 드시는 분들이 많습니다. 캐나다에서 철분제는 처방전 없이 약국에서 구입할 수 있는데, 오히려 처방받지 않는 약이다 보니 어떤 종류로 torontomd.tistory.com 철분제는 하루에 몇번? 최근에 나온 연구결과에 따르면 철분제를 하루에 여러 번씩 너무 자주 먹는 것은 오히려 흡수에 방해된다는 결과가 있습니다. 철분..

내가 있는 지역 락다운 현재 상황 실시간 체크하기 - 5가지 zone, 지역별 맵

세계적으로 코로나 증가 수치는 조금씩 줄어드는 추세이고 캐나다도 마찬가지로 조금씩 줄어들다가 최근 다시 조금 꿈틀 하는 모습입니다. 변이 코로나에 관한 염려도 있지만 그나마 다행인 건 백신 접종에 속도를 조금 더 냈다는 점입니다. 누구나 바라듯 어서 일상으로 돌아갔으면 좋겠습니다. 캐나다는 각 주마다 보건 정책이 조금 다른데 온타리오 주에서는 색깔별로 각 지역에 락다운을 두고 있습니다. 회색이 가장 엄격하게 락다운인 상태고 초록색이 가장 자유로운 상태를 뜻합니다. 초록색 - Prevent 개인적인 모임은 실내 10명, 실외 25명으로 제한 공적인 모임은 실내 50명, 실외 100명으로 제한 종교적 모임이나 결혼, 장례식 등은 실내 30% 총 수용 가능 인원만, 실외는 100명으로 제한 비즈니스는 열어도 ..

캐나다 의대 과정 [본과] - 현직 캐나다 의사 경험담

이번 포스트에서는 캐나다 의대 본과과정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일반적으로 캐나다 의대는 총 4년이고 예과는 의대 1, 2학년을 본과는 의대 3, 4학년을 말합니다. 예과과정에 관한 글은 아래 링크를 참조해주세요 본과과정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일반적으로 캐나다 의대는 총 4년이고 예과는 의대 1, 2학년을 본과는 의대 3, 4학년을 말합니다. 예과과정에 관한 글은 아래 링크를 참조해주세요 캐나다 의대 과정 [예과편] - 현직 캐나다 의사 경험담 캐나다 의대생 교육과정은 어떨까요? 한국과 마찬가지로 예과와 본과로 나뉘어 있습니다. 예과에서는 기본지식을 본과에서는 실습에 들어가는 것이 일반적인데 오늘은 캐나다 의대 예과 과정 torontomd.tistory.com 본과 - Clerkship 예과과정에서는..

철분제 종류와 흔한 부작용, 부작용 줄이는 방법

빈혈이나 식습관, 또는 임신 등등 여러 이유로 철분제를 드시는 분들이 많습니다. 캐나다에서 철분제는 처방전 없이 약국에서 구입할 수 있는데, 오히려 처방받지 않는 약이다 보니 어떤 종류로 먹어야 할지 헷갈리는 분들이 많습니다. 이번 포스트에서 다양한 캐나다 철분제 종류를 알아보고 흔히 나타날 수 있는 부작용, 또 이를 어떻게 줄일 수 있을지 알아보겠습니다. 캐나다에서 볼 수 있는 철분제 종류 약국에 가면 철분제 종류가 많이 있는데 중요한 것은 주 성분이 무엇인지 체크하는 것입니다. 사실 아래에 4가지보다도 더 많은 종류가 있지만 대부분 4개 중 하나라고 보시면 됩니다. Ferrous Sulfate - 브랜드 예) Slow Fe Ferrous Gluconate - 브랜드 예) Fergon Ferrous F..

캐나다 백신접종 온라인등록 & 승인된 4가지 백신비교 - 화이자, 모더나, 아스트라제네카, 존슨앤존슨

한동안 백신 접종이 더뎌서 많은 비판을 받았던 온타리오지만 이제 백신 물량이 점점 들어옴에 따라 백신 접종에도 속도를 내고 있습니다. 온타리오주는 조금 늦어지는 편이지만 다른 주들은 고 연령층부터 접종을 시작했는데요, 현재 캐나다에서 사용이 허가된 4가지 백신들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Covid-19 Tracker에 따르면 현재 캐나다 전체중 5%가 적어도 1 dose는 받은 상태입니다. 업데이트 (2021년 3월 9일): 이제 아래 웹사이트에서 토론토에 거주하고 자격이 되는 사람들은 온라인예약을 할 수 있습니다. 80세 이상은 접종이 가능하니 가까운 병원으로 골라서 온라인 예약을 하시면 됩니다. Covid-19 Vaccination Clinics vaccineto.ca 현재 캐나다에서 사용이 허가된 ..

캐나다 의대 과정 [예과편] - 현직 캐나다 의사 경험담

캐나다 의대생 교육과정은 어떨까요? 한국과 마찬가지로 예과와 본과로 나뉘어 있습니다. 예과에서는 기본지식을 본과에서는 실습에 들어가는 것이 일반적인데 오늘은 캐나다 의대 예과 과정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캐나다 의대 입학기준이 다양한 것만큼이나 의대 과정은 학교마다 조금씩 차이를 보이고 다양합니다. 일례로 캐나다 대부분의 의대는 4년 과정이지만 캘거리 의대와 맥마스터 의대는 단 3년입니다. 캐나다 의대는 일단 대학교 학부과정을 거치고 가기 때문에 한국과는 달리 고등학교를 졸업 후에 바로 진학할 수 없습니다. 한국과 비교해보면 한국은 의대과정이 총 6년( 예과 2년 + 본과 4년) 인것에 비해 캐나다는 일반적으로는 예과 2년 본과 2년으로 4년 과정입니다. 3년 과정인 의대의 경우는 각 1년 반씩이라고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