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97

광역 토론토 (GTA) 한인 가정의 리스트 (June 2022 Update)

토론토 근처에 한국어를 잘하는 가정의 (family doctor)를 찾는 가장 좋은 방법은 무엇일까요? 가장 공식적인 방법은 CPSO (온타리오 의사협회) website에서 검색하는 것입니다. 캐나다 온타리오에서 한국어 할수 있는 의사 찾기 - CPSO website 이용 이번 포스트에서는 CPSO 웹사이트에 들어가서 온타리오에서 한국말을 할 수 있는 가정의를 검색하는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CPSO는 College of Physicians and Surgeons of Ontario의 약자로써 온타리오에서 torontomd.tistory.com 온타리오에서 의사면허증을 가지고 있다면 1년에 한 번씩 의사협회에 주소와 연락처를 등록해야 합니다. 그리고 등록할 때 만약 영어 외에 다른 언어를 할 수 있다면 ..

캐나다 온타리오에서 받을 수 있는 예방 접종과 스케쥴

아기가 새로 태어나면 캐나다에서는 예방접종을 언제 어떻게 맞는지 궁금해하실 듯하여 이번 포스트를 작성하게 되었습니다. 일반적으로 예방접종은 가정의 또는 소아과 클리닉에서 접종 받으실 수 있습니다. 저번 포스트에서 알려드렸듯이 애가 태어나면 바로 소아과나 가정의 클리닉에 연락을 해서 아기를 새 환자로 받아줄 수 있는지 문의하시고 가시면 됩니다. 아기는 태어나자마자 예방접종을 맞지는 않고 2개월때부터 시작하는데 그때 일단 처음 가서 백신을 받고 정해진 스케줄대로 다음 약속 잡고 오시면 됩니다. 애기가 태어나면 한국을 방문하기도 하고 여행 스케줄도 있을 수 있기에 언제 언제 예방접종을 받는지 알려드리겠습니다. 각 스케쥴은 애기 나이 기준입니다. 2개월: 주사 2 개 + 먹는 백신 1개 4개월: 주사 2 개 +..

캐나다에서 의사 되는 방법(4) - 리서치(research) 경력을 쌓는 3가지 방법

의대를 지원 시에 꼭 하진 않아도 되지만 아무래도 경력에 있으면 없는 것보단 늘 나은 것이 리서치, 즉 연구 경력입니다. 하지만 리서치 경력은 보너스지 필수는 아니지만 시관관리를 통한 학점관리가 훨씬 중요하기 때문에 본인 스케줄에 맞춰하시는 게 좋습니다. 리서치를 구하는방법으로는 학교를 다니며 (9월-4월 기간, 학기 중) 담당교수 밑에서 시간을 쪼개서 틈틈이 연구를 한다. 여름 인턴쉽 프로그램에 지원한다. Work study program을 이용해서 지원한다. 하나씩 살펴보겠습니다. 1. 학교를 다니며 학기 중에 연구를 하는 방법 장점은 오랜 기간 동안 꾸준히 연구를 하면서 교수와 인맥을 쌓고 장기간에 걸쳐서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하지만 단점으로는 바쁜 학기 중에 해야 하고 또 교수가 학기 ..

캐나다에서 의사 되는 방법(3) - MCAT 시험준비

캐나다에서 의대 진학에 관심이 있는 분이라면 한 번쯤은 들어봤을 시험이 MCAT (Medical College Admission Test, 앰캣이라고 주로 줄여 발음합니다)입니다. 이 글을 검색해서 오신 분들이라면 어차피 MCAT에 관한 객관적인 사항은 공식 웹사이트에서도 쉽게 찾아볼 수 있으니 이 포스트에서는 경험담과 주관적인 생각을 나누겠습니다. 캐나다의 거의 모든 의과대학은 MCAT을 요구합니다. 캐나다에서 MCAT이 가진 의미를 요약하자면 높은 점수를 받았다고 의대합격이 보장되지는 않지만, 낮은 점수를 받으면 대부분 의대의 불합격은 보장된다. 짧은 시간 안에 새로운 정보를 읽고 이해하는 능력을 보는 시험이라 생각보다 과학 지식은 많이 필요 없다. 대학마다 MCAT이 차지하는 비중이 다르기 때문에 ..

캐나다에서 의사 되는 방법 (2) - 의대 지원시 과외 활동(extra-curricular activities)은 어떻게 해야할까?

대학생 시절 정해진 시간은 한정적인데 어떤 과외 활동을 해야 할까요? 많은 분들이 아시다시피 의대 갈 때는 성적 외에 다른 많은 것을 요구합니다. 그중 흔히 오해하는 것 중 하나는 병원에서의 봉사활동, 또는 개발도상국에 가서 하는 의료봉사가 필요하다고 생각합니다. 이것은 마치 의대 지원하려는 학생들이 Biology 전공을 하려는 것처럼 오히려 클리쉐처럼 여겨지기 때문에 (지원자는 그냥 다 하는) 그렇지 않습니다. 의대 지원 시에 과외 활동으로 판단하고자 하는 점은 지원자가 바쁜 학교생활을 하면서도 (=좋은 학점관리를 유지하면서) 여러 가지 활동을 할 정도로 시간/자기 관리가 되느냐 지원자가 정말로 자신이 진심으로 좋아하는 활동을 했는가 과외 활동을 꾸준히 했는가 두 가지 예를 들어 설명드리겠습니다. A)..

캐나다에서 의사 되는 방법 (1) - 현직 캐나다 가정의 경험담, 대학교 학부과정

의사가 장래희망이신 학생분들이 많고 이것에 대한 질문도 종종 받아서 이것에 대한 글을 써보기로 결심했습니다. 한인 의사가 근래에는 많이 늘어나는 추세지만 한국어를 잘 구사하는 의사는 아직도 많이 부족한게 사실입니다. 앞으로 한국어를 잘하는 많은 한국의사가 배출되기 바라며 이 글을 작성해봅니다. 조금 글이 길어질것 같아 여러 파트로 나눠서 올리겠습니다. 시간이 되는데로 올릴거라 언제 다 쓸 수 있을지는 모르겠습니다. 그만큼 과정이 조금 복잡한 면도 있습니다. 이번글에서는 기본적으로 어떤 자격요건이 갖춰줘야 캐나다에서 의사가 되는지를 알아보겠습니다. 개인 경험담 캐나다에 15세에 이민와서 온타리오에서 9학년때부터 고등학교를 시작했고 대학교 진학후 알버타의 의대에서 졸업하고 레지던시를 다시 온타리오에서 마쳤습..

캐나다 온타리오에서 가정의 (family doctor)를 찾는 3가지 방법

CPSO (College of Physicians and Surgeons of Ontario) 웹사이트 Health Care Connect 웹사이트 이미 가정의에게 등록 되있는 가족을 통해서 많은 분들이 주변 지인들이나 온라인을 통해서 가정의를 찾는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물론 이렇게 찾는것도 좋은 방법입니다만 그렇게 하면 새로 시작한 가정의는 모를 수도 있고 원하는 위치에 찾지 못한 나머지 가정의를 찾기 어렵다고 많이들 말씀하십니다. 이번 포스트에서 주변에 입소문으로 알게되지 않더라도 직접 검색을 통해서 신규환자를 받는 가정의 찾는 방법을 알려드리겠습니다. 첫번째 방법: CPSO 웹사이트 많은 분들이 잘 모르시지만 www.cpso.on.ca에서는 온타리오내에서 현재 일하고 있는 모든 의사들의 direct..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