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러 가지 이유로 철분제를 복용 중이신 분들이 많습니다. 보통 빈혈이나 임신 중 또는 채식주의자의 경우 철분제를 따로 복용해야 되는 경우가 있습니다. 캐나다에서 철분제는 의사 처방전이 따로 필요 없기에 보통 철분이 부족하면 약국에서 철분제를 스스로 사서 복용하셔야 합니다. 일반적으로 철분제는 하루에 한 알을 복용하라고 권장하는 편인데 매일 복용 시와 하루 건너 복용 시의 차이점에 대해 여러 논문 들을 분석한 논문을 가져왔습니다.
이번 글의 참조 논문은 여기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Iron dosing frequency: Is less more or just less? Holly Lee, Man-Chiu Poon, G. Michael Allan. Feb 2021)
다른 약들에 비해 철분제는 부작용이 흔한 편입니다. 특히 속 쓰림, 변비, 설사 등 복부에 관련된 부작용이 종종 일어나고 그 때문에 철분제 복용을 매일같이 하기 어려워하시는 분들이 많습니다. 철분제 부작용과 줄이는 방법에 관한 글은 예전 글을 참조해주세요.
이번 논문은 유럽, 인도, 이란 등에서 14-22세 여성분들의 철분 복용 후 혈당 철분 수치를 분석한 5가지 무작위 배정 임상실험 (Randomized Controlled Trials) 들을 살펴보았습니다. 철분 복용 양은 50~100mg의 elemental iron입니다. 일반적으로 적혈 구양은 120~160g/L이 정상범위이고 철분은 5~272 µg/L이 정상범위입니다. 철분제는 빈혈을 줄이기 위해 먹는 경우가 대부분이기에 적혈구 수치와 철분 수치를 측정했습니다.
연구결과
1. 40명의 철분 수치가 낮은 여성들
적혈구 증가양(Hemoglobin, g/L) | 철분 증가양 (Ferritin, µg/L) | |
14일간 매일 | 4 | 15 |
2주간 하루건너 복용 | 4 | 10 (통계적 차이 없음) |
2. 24명의 철분 수치가 낮은 여성들
적혈구 증가양(Hemoglobin, g/L) | 철분 증가양 (Ferritin, µg/L) | |
90일간 매일 복용 | 6 | 16 |
90일 동안 일주일에 두번 복용 | 8 (통계적 차이없음) | 4 |
3. 203 명의 빈혈이 있는 여성들
적혈구 증가양(Hemoglobin, g/L) | 부작용 빈도 | |
12주간 매일 | 32 | 복통 (41%), 메스꺼움 (11%), 구토 (6%) |
12주간 일주일에 두번 | 29 | 복통 (5%), 메스꺼움 (1%), 구토 (0%) |
4. 223 명의 빈혈이 있는 여성들
적혈구 증가양 (Hemoglobin, g/L) |
철분 증가양 (Ferritin, µg/L) |
부작용 빈도 (복통, 메스꺼움, 구토, 변비 등 | |
90일간 매일 복용 | 23 | 20 | 전체 부작용 38% |
1년간 일주일에 두번 복용 | 31 | 20 | 전체 부작용 18% |
5. 204 명의 여성들 (반만 빈혈 있음)
적혈구 증가양(Hemoglobin, g/L) | 철분 증가양 (Ferritin, µg/L) | |
90일간 매일 복용 | 7.4 | 수치 보고되지 않았지만 더 효과가 있음 |
90일 동안 일주일에 두번 복용 | 8.5 (통계적 차이없음) | 수치 보고되지 않음 |
연구 결론 & 감안해야 할 점
- 전체적으로 낮은 환자수를 한 연구가 대부분이었고 나이 때가 14~22세 여성 환자들만 살펴본 결론입니다.
- 철분제를 매일 복용 시의 적혈구와 철분 증가 양이 일주일에 두 번 또는 하루 건너서 복용 시 보다 미미하게 높았습니다. 하지만 부작용 빈도는 훨씬 높이 나타났습니다.
개인적인 결론
전체적으로 매일 복용한다고 적혈구나 철분 양이 월등하게 증가되지는 않는 것 같습니다. 임상적으로 조금 더 높아지는 것은 실제로도 큰 의미가 없을 때가 많습니다. 하지만 부작용은 현저히 줄어드니 철분제를 드실 때 부작용이 생기셨다면 양을 줄여서 일주일에 두 번 먹어도 충분히 효과를 기대할 수 있어 보입니다. 철분이 꼭 필요한데 약을 조금 먹더라도 복부 부작용이 생긴다면 철분 링거 (IV iron)을 받는 것도 고려해 봐도 좋을 듯합니다.
'캐나다 의사생활 > 건강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임신 또는 수유중에 코로나 백신을 맞아도 괜찮을까? (0) | 2021.06.08 |
---|---|
심혈관 건강을 위한 효과가 있는 지중해 식단 (Mediterranean Diet) (0) | 2021.06.06 |
오메가 3와 혈관질환에 대한 효능 (0) | 2021.05.25 |
비타민 D가 코로나 예방 및 치료에 끼치는 영향 (0) | 2021.05.19 |
코로나에 효과있는 치료제와 잘못 알려진 치료제 (0) | 2021.05.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