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글은 캐나다 가정의학회 저널에 실린 논문을 토대로 작성되었습니다. 관련링크는 여기를 참조해주세요. (T.S. Brandon Ng, Kori Leblanc, Darwin F. Yeung and Teresa S.M. Tsang Canadian Family Physician March 2021, 67 (3) 171-179;)
미국을 포함한 선진국 몇몇 나라에서는 코로나가 잡혀 나가는 추세이고 캐나다에서도 긍정적인 신호가 많이 보이고 있습니다. 코로나가 처음 리포트된 지 1년이 넘은 지금 현재 연구결과 어떤 치료제들이 효과적이고 또 잘못 알려진 것들은 무엇인지 알아보겠습니다.
효과가 없는 치료제
클로로퀸, 하이드록시 클로로퀸
클로로퀸과 하이드록시클로로퀸은 원래 둘 다 말라리아 치료약입니다. 말라리아가 거의 없는 캐나다 또한 루퍼스나 류마티스성 관절염 치료제로도 흔히 쓰이기도 하는 약입니다.
클로로퀸은 코로나 초기에 중국에서 100명의 환자들에게 시도를 해봤더니 효과가 있었다고 알려지면서 매스컴의 많은 관심을 받았습니다. 한 때 미국 전 대통령인 트럼프도 자신은 매일 클로로퀸을 복용한다고 발표하기까지 했었습니다. 그 후 프랑스에서 20명의 환자들에게 실험 결과도 긍정적인 지표를 보이며 정말 효과가 있는 것이 아닌가 해서 의학계에서도 다른 실험을 진행하게 되었습니다.
초기 긍정적인 결과와는 다르게 더 많은 환자들에게 실험을 했을 때는 차이가 없었습니다. RECOVERY trial이라는 연구논문에 의하면 1561명의 코로나 입원환자중 하이드록시 클로로퀸을 썼더니 27%가 사망률을 보였고 3155명의 환자 중 쓰지 않은 환자들 또한 비슷한 25% 사망률을 보였습니다. 또한 하이드록시 클로로퀸을 복용한 환자들의 경우 병원에 더 오래 머물러야 했고, 인공호흡기를 써야 될 확률도 더 높았습니다.
초기에 효과가 있는것이 아닌가 의문도 있었지만 더 많은 환자들로 체계적으로 연구한 결과 차이가 없음이 밝혀지며 클로로퀸, 하이드록시 클로로퀸은 치료제로 쓰이지 않습니다.
토실리주맙, 오셀타미비르 (Tocilizumab, Oseltamivir)
항바이러스제로 알려져 있는 토실리주맙(Tocilizumab), 오셀타미비르(Oseltamivir)는 효과가 검증되지 않았습니다.
효과가 있는 치료제
코티코스테로이드 (Corticosteroid)
코티코스테로이드, 또는 단순히 스테로이드 약은 의학에서 여러 용도로 이미 쓰이는 약입니다. 몸에 염증을 낮혀주는 성질 때문에 이미 다른 질병에도 많이 사용하고 코로나로 입원한 환자도 마찬가지로 폐의 염증을 낮추기 위해 사용을 시도했습니다. 하지만 면역력을 낮추기 때문에 조심스럽게 써야 하는 약입니다.
위에서 이미 언급한 RECOVERY trial이라는 연구에서 2104명의 입원환자에게 스테로이드 처방을 했고 이 중 22.9%가 사망률을 보인 반면, 처방을 받지 않은 4321명의 입원환자중 25.7%가 사망률을 보이며 효능을 보였습니다. 그 외 다른 연구결과에서도 긍정적인 지표를 보여서 코로나로 인해 입원한 중증환자에게는 좋은 치료제로 활용되고 있습니다. 주의할 점은 실험 결과도 중증 입원환자만 연구했듯이 가벼운 코로나나 심하지 않다면 스테로이드 처방을 권하지 않습니다.
렘데시비르 (Remdesivir)
렘데시비르도 코로나 초기에 치료제로서 많이 주목을 받았습니다. 렘데시비르도 사실 코로나를 위해 개발된 약이 아니라 이미 에볼라 바이러스를 치료하기 위해 만들어진 약입니다. 렘데시비르는 미국에서 처음 코로나로 입원한 환자를 위해 시도해본 약이었고 긍정적인 결과를 가져왔습니다.
그 후 다른 연구결과도 코로나를 앓는 기간을 줄여주고 사망률도 낮추는 결과를 보였습니다. 아직 흔하게 쓰이는 약은 아니고 병원 입원환자들 중 심한 경우 사용하기에 조금 더 연구결과가 필요하지만 캐나다 보건국에서는 2020년 7월 이후로 사용을 심한 경우에 허용하고 있습니다.
'캐나다 의사생활 > 건강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오메가 3와 혈관질환에 대한 효능 (0) | 2021.05.25 |
---|---|
비타민 D가 코로나 예방 및 치료에 끼치는 영향 (0) | 2021.05.19 |
달리기와 관절염의 상관관계 - 조깅을 하면 무릎에 안좋을까? (0) | 2021.05.13 |
아스트라제네카 백신 접종 후 혈전 위험성 자가진단 해보기 (0) | 2021.05.10 |
화이자 (Pfizer) 코로나 백신 접종을 하면 안되는 경우 & 접종시 주의해야 할 경우 (0) | 2021.05.07 |